본문 바로가기
Business/경제금융용어

유동성딜레마, Triffin의 딜레마

by 라띠앵커 2022. 8. 24.
반응형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체제는 독자적인 세계통화가 아니라 특정 국가의 통화인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여 성립된 체제였다. 따라서, 동 체제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는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하는 동시에 세계의 상품 및 자본 거래량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유동성을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국제수지 적자를 기록하여 달러화 공급량을 증가시키면 세계적으로 유동성은 증가하나 달러화에 대한 신인도(어떤 국가나 기업에 대한, 믿고 인정할 만한 정도)가 하락한다. 반대로, 미국이 국제수지 흑자를 내어 달러화 공급량을 감소시키면 달러화의 신용도는 상승하나 세계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모순된 상황을 가리켜 미국 예일대의 Triffin 교수는 유동성딜레마라고 불렀다(동 교수의 이름을 따서 Triffin의 딜레마라고도 한다). 특정한 국가의 통화를 기축통화로 삼는 국제통화체제의 경우 이러한 모순이 불가피하여 그 국제통화체제는 내재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SDR(특별인출권) 제도가 생기게 되었다.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가 된 뒤 딜레마가 발생.
미국이 국제수지 적자를 기록하여 달러 공급량을 늘리면 달러에 대한 신인도가 하락.
미국이 국제수지 흑자를 기록하여 달러 공급량을 줄이면 달러에 대한 신인도가 상승하나 유동성 부족하게 됨.
이 딜레마를 유동성딜레마라고 부르며, Triffin의 딜레마로도 부름.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특별인출권 제도가 있음.

반응형

'Business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0) 2022.08.24
유동성리스크  (0) 2022.08.24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0) 2022.07.26
유동성(liquidity)  (0) 2022.07.26
유동비율  (0) 2022.07.26